기업의 주식이 증권시장에서 공식적으로 거래되려면 우선 상장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기업이 주식을 상장하는 방법 중 가장 기본이되는 방법은 기업을 공개하는 것인데 이를 가려카 IPO라고 합니다. IPO는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입니다.
IPO 등을 통해 기업이 공개되면 주식발행을 통해 자금조달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코인도 이와 유사한 공개발행 과정이 있는데 용어별로 차이가 있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ICO
ICO는 Initial Coin Offering의 약자입니다.
코인개발자나 개발사가 코인을 직접 만들어 커뮤니티 등을 통해 홍보하여 투자자들에게 판매, 자금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투자자들은 코인이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되면 이를 판매할 수 있게 됩니다.
암호화폐 상장에 성공하여 거래가 활성화할 경우 높은 투자 실적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이와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경우 IPO와 달리 공개 주간사가 없이 사업주체가 직접 판매하기 때문입니다. 명확한 기준이 없이 사업자 마음대로 할 수 있어 스캠이 될 확률이 매우 큽니다.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모집방식이기 때문에 ICO를 금지하는 국가도 생겨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IEO
IEO는 Initial Exchange Offering의 약자로 거래소를 통한 모집을 말합니다. 개발자나 개발사가 직접 코인을 홍보하지 않고 믿을만한 거래소를 통해 홍보를 하게 되므로 ICO에 비해 신뢰성이 부여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형 거래소의 경우 개발사에 대해 철저한 검증을 해서 상장을 해야 본인들의 명성에 흠이 가지 않기 때문에 피해를 볼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IDO
IDO는 Initial DEX Offeing입니다.
주식의 공모주와 같은 개념으로 IDO를 하게 되면 누구나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만 한다고 무조건 부여 받는 것은 아니고 추첨을 통해 당첨이 되면 화이트리스트라는 명단에 당첨자가 올라게 됩니다.
IDO의 혜택은 다른 사람보다 코인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겁니다.
ICO, IEO와 차이는 DEX라는 탈중앙화거래소를 통해 선별하여 상장하고 있는 것이며 ICO에 대비해서 리스크가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https://mydays81.tistory.com/entry/Anchor-Protocol-ANC-%EC%9D%B4%EB%9E%80
'my > Crypto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투스 코인 C2X 토큰 출시 (2) | 2022.02.05 |
---|---|
Phantom 팬텀 아이폰용 iOS 지갑 출시 (0) | 2022.02.05 |
P2E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의 후속 :: 벡시인피니티(BXIE INFINITY) 에어드랍 (2) | 2021.12.12 |
잊고 지내던 업비트에 들어온 페이코인 (1) | 2021.12.07 |
메타디움 코인, 사전예약하고 1만원 받기 (4) | 2021.11.30 |